본문 바로가기

경제학 기초4

[경제학원론] 10강 조세의 귀착 : 물건이 거래될 때 판매자/구매자 중 세금을 내는 쪽은 누구인가? 어느덧 10번째 글을 쓰고 있는데, 생각보다 진도가 빨리 나가지는 않는 기분이네요. 경제학원론 책 하나를 끝내는데도 이렇게 시간이 걸릴지 예상하지는 못했지만, 느린 만큼 확실히 얻어가는 것은 있는 것 같네요. 오늘은 조금 재밌는 얘기를 해보려고 하는데요. 이번에 나눌 얘기는 바로 세금입니다. 저도 일을 하기 전까지는 세금이 그렇게까지 와닿지 않았는데요. 제가 받은 연봉의 세전과 세후를 살펴보면 한숨만 나오더라구요. 그래서 세금 관련된 재미있는 이야기를 나눠보려고 합니다. '과연 거래가 이루어질 때 세금은 판매자가 부담해야 하는가? 혹은 구매자가 부담해야 하는가?'에 대한 얘기입니다. 오늘도 평소에 궁금했던 경제학 지식을 하나 얻어간다는 마음으로 공부해 보도록 합시다. 경제학을 처음부터 차근차근 공부해보고.. 2023. 6. 17.
[경제학원론] 09강 가격통제 : 가격상한제와 가격하한제는 시장에 어떤 영향을 줄까? 여태까지는 시장 참여자 중 소비자와 생산자에 대한 얘기만 나눠 왔었습니다. 하지만 아시다시피 중요한 참여자가 또 존재하죠. 바로 정부입니다. 간단한 모델링을 위해 여태 두 집단에 대해서 얘기를 나눠왔지만, 현실에서는 정부가 엄청나게 많은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하는 역할 중 오늘 알아볼 것은 바로 가격 통제에 대한 정책입니다. 우리는 자주 정부가 시장에 참여하여 가격을 결정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코로나 때 마스크 가격을 통제한 것도 대표적인 예입니다. 만약 이런 통제가 없었더라면 마스크 부족으로 생산자들은 엄청나게 높은 가격으로 판매를 했을 것입니다. 그래서 이러한 가격 통제는 꼭 필요한 상황들이 나오곤 합니다. 그렇다면 경제학에서는 이러한 가격 통제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요? 이에 대.. 2023. 6. 17.
[경제학원론] 07강 수요의 탄력성 : 사람들은 가격에 어떻게 반응하는가? 이번에는 평소에 경제에 크게 관심이 없었다면 약간 생소한 개념을 공부해보려고 합니다. 바로 탄력성에 대한 얘기를 하려고 하는데요. 탄력성하면 저는 용수철의 탄력성과 같이 얼마나 팽팽한 지가 떠오르는데, 경제학에서는 약간 다른 느낌으로 사용하고 있더라구요. 이번에는 도대체 머리 아프게 이러한 탄력성의 개념을 왜 배워야 하는지부터 차근차근 공부해 보도록 합시다. 이번에도 이 글을 처음으로 들어와서 경제학을 처음부터 공부해 보고 싶은 분은 아래 링크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경제학원론] 00강 경제학에 대한 첫 걸음 "경제학 내용인 본론부터 보고 싶은 분들은 다음 글부터 봐주시길 바랍니다" (어쩌다 보니 잡설과 서론이 많이 길게 작성되었습니다) 경제학 공부를 시작하며 일을 시작하고 뒤늦게 경제에 대한 like-.. 2023. 5. 28.
[경제학원론] 06강 시장의 공급과 균형 : 시장 가격은 어떻게 정해지는걸까? 이번에는 시장의 공급과 균형에 대해 배워볼 예정입니다. 이전에 우리는 경쟁시장 속에서 정해지는 가격을 그저 받아들일 뿐이라고 배웠는데요. 그러면 그 가격은 누가 정하는 것일까요? 바로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통해 정해지게 됩니다. '시장 가격이 어떻게 정해지는거야?'라는 호기심과 함께 이번 포스팅을 공부하면 조금 더 재밌게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처음부터 경제학을 공부하고 싶으신 분은 아래의 링크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경제학원론] 00강 경제학에 대한 첫 걸음 "경제학 내용인 본론부터 보고 싶은 분들은 다음 글부터 봐주시길 바랍니다" (어쩌다 보니 잡설과 서론이 많이 길게 작성되었습니다) 경제학 공부를 시작하며 일을 시작하고 뒤늦게 경제에 대한 like-a-cat.tistory.com 공급곡선 이전 .. 2023. 5. 21.
반응형